본문 바로가기
개발 언어 (Language)/Python

파이썬 기초구문

by Tarake 2024. 8. 25.

변수


변수란 모든 언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메모리 상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생성하고 이름을 붙이는 것을 변수라고합니다.

파이썬의 변수는 C나 C++, Java와 달리 변수를 선언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틀린과 마찬가지로 변수에 자료형을 선언하지 않아도 프로그램 동작하는 중에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자료형을 붙여주기 때문에 자료형을 선언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코틀린은 var, val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지만 파이썬은 이러한 키워드 없이 변수의 이름만 정하면 변수가 선언됩니다.

 

변수의 생성


bool = True
a = 0
b = 0.0
str = ""
x, y, z = "Orange", "Banana", "Cherry"
fruits = ["apple", "banana", "cherry"]
x, y, z = fruits

위에 코드와 같이 파이썬은 변수를 선언합니다. 변수명에 값을 대입하면 해당 값의 자료형으로 타입이 정해지기 때문에 다른 언어와 달리 자료형을 선언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인터프리터 형식으로 프로그램이 동작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코드의 끝마다 새미콜론(;)을 붙일 필요가 없습니다.

 

변수명 지정

a = str(3)
b = int(3)
c = float(3)

파이썬은 코틀린에서와 마찬가지로 변수의 자료형을 선언할 필요는 없지만 명시적으로 변수의 자료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곳의 예를 들면 다른 언어에서 scanner가 존재하듯이 파이썬에서도 scanner 동작을 하는 input()이라는 함수가 존재하지만 해당 함수는 문자열로만 값을 입력 받습니다. 따라서 정수형 실수형 같이 자료형의 변경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 이름 규칙

  • 변수 이름은 문자 또는 밑줄 문자로 시작해야 합니다.
  •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
  • 변수 이름에는 영숫자 문자와 밑줄(Az, 0-9, _)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변수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age, Age 및 AGE는 세 개의 다른 변수입니다)
  • 변수 이름은 Python 키워드 중 하나가 될 수 없습니다 .

변수 출력

a = 10
str = "hello"
print(a, str)

변수를 출력할 때는 print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정수형은 print 키워드 내에서 + 기호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정수형 + 문자열의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자바에서는 + 가 이어서 출력하는 의미를 지녔지만 파이썬에서는 오류이기 때문에 다른 형식의 변수를 한 번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콤마(,)를 사용해서 출력해야 합니다.

 

변수 입력


a = input()
b = int(input("정수"))

C언에서는 scanf 그리고 java에서는 scanner를 사용하듯이 파이썬에서는 input이란 키워드로 사용자로부터 값을 입력 받을 수 있습니다. C언어나 Java에서는 입력받을 때 입력받을 데이터 형식을 지정하지만 파이썬에서는 문자열로 입력 받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데이터 타입을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연산자


2024.08.01 - [Programming/Java] - 연산자(Operators)

 

연산자(Operators)

연산자(Operators)산술 연산자연산자연산자의 기능=연산자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있는 변수에 대입+피연산자의 값을 더함-왼쪽 피연산자 값에 오른쪽 피연산자 값을 뺌*피연산자의 값을 곱함

hosunghyun.tistory.com

 

주석문


# 안녕하세요 
pirnt("Hello world")

파이썬에서의 주석문은 한 줄 주석만 존재합니다. 

여러 줄 주석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을 여러번 사용하거나 파이썬은 문자열 리터럴을 무시하기 때문에

"""
여러 줄
주석 처리
"""

위와 같이 주석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조건문


a = 10
if a < 20:
    print(a)
elif a < 10:
    print(a)
else:
    print("hello")
    
b = 3
match b:
    case 1:
        print(1)
    case 2:
        print(2)
    case 3:
        print(3)
    case _:
        print("other")

파이썬 또한 실행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조건문이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언어가 if (조건식) {실행문} 형식으로 제작되지만 파이썬은 소괄호와 중괄호를 사용하지 않고 조건문을 선언합니다. 또한 다른언어에서 else if 키워드를 사용하지만 파이썬에서는 elif 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파이썬에서는 switch문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파이썬 3.10을 기준으로 match~case라는 switch문의 역활을 하는 문법이 새로 생겼습니다.

 

반복문


파이썬에는 두 가지의 반복문이 존재합니다. 하나는 몇 번 반복하는지 정하지 않아 반복횟수를 모르는 while문과 반복횟수가 정확하게 정해져있는 for문이 존재합니다. 

while

i = 1
while i < 6:
  print(i)
  i += 1

반복 조건의 연산이 어떻게 될지 모를 경우에는 while문을 사용합니다.

for

fruits = ["apple", "banana", "cherry"]
for x in fruits:
  print(x)

while과 달리 for문은 정확히 몇 번 반복하는지 아는 반복문에서 사용합니다. 

위에 코드와 같이 배열을 반복할 때 사용하지만 range()키워드를 사용해서 반복문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for x in range(2, 6):
  print(x)

 

range 조건은 3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range(끝) : 0부터 끝-1까지의 숫자
  • range(시작, 끝) : 시작부터 끝-1까지의 숫자
  • range(시작, 끝, 증가폭) : 시작부터 끝-1까지, 증가폭만큼 증가하는 숫자

 

break, continue, else 문


break문

i = 1
while i < 6:
  print(i)
  if i == 3:
    break
  i += 1

반복문을 탈출 할 때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 그냥 break를 사용하면 한 번만 반복하고 종료되기에 if문과 함께 사용됩니다.

 

continue문

i = 0
while i < 6:
  i += 1
  if i == 3:
    continue
  print(i)

break문이 반복문을 탈출할 때 사용한다면 continue문은 반복문을 한 번 건너뛸 때 사용합니다. 그냥 사용할 경우 반복문에 의도하지 않은 오류(contiinue 문은 밑에 코드를 무시하기에 조건식의 증가를 무시하여 무한반복) 등이 발생할 수 있기에

break문과 마찬가지로 if문과 함께 사용합니다.

 

else 문

i = 1
while i < 6:
  print(i)
  i += 1
else:
  print("i is no longer less than 6")

자바에서 try~catch문에서 finally 문과 비슷한 동작으로 반복문에서 조건에 맞지 않게되어 종료될 때 한 번만 동작하는 구문입니다.

 

출처

W3school

 

W3Schools.com

W3Schools offers free online tutorials, references and exercises in all the major languages of the web. Covering popular subjects like HTML, CSS, JavaScript, Python, SQL, Java, and many, many more.

www.w3schools.com

 

'개발 언어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상속  (0) 2024.08.25
파이썬 함수  (0) 2024.08.25
파이썬 문자열  (0) 2024.08.25
파이썬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0) 2024.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