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프레임워크 (Web Framework)/Spring Boot
스프링 부트 컨트롤러와 페이지 만들기
Tarake
2024. 9. 9. 20:34
컨트롤러 만들기
이 클래스는 main()과 같은 역활을 합니다. 즉 이 클래스에서 스프링 부트가 시작됩니다.
컨트롤러를 만들기위해 site 디렉터리에 MainController.java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프레젠테이션 계층처럼 사용하기 위해 클래스 위에 @Controller라는 어노테이션을 작성합니다.
@GetMapping 어노테이션은 HTTP에서 GET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메소드입니다. 즉 메소드 안에 작성된 GET 요청이 발생하면 어노테이션된 index() 메소드가 동작하게 됩니다.
메인 페이지이므로 /, /index, /home이 GET 요청이 왔을 때 메인페이지를 동작하도록 작성하였습니다.
return "index" 를 하는데 이것은 어느 파일을 실행할 지 반환하는 형식입니다. 즉 index.html 파일을 실행하라는 의미입니다.
컨트롤러에서 index.html을 실행하기 위해 템플릿 디렉터리에 index.html 파일을 생성합니다.
vscode와 같은 IDE는 ! + tab 키를 누르면 HTML 파일 형식을 자동으로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위와 같은 형태로 수정해줍니다.
properties 파일에 서버 포트를 9090으로 작성하였기 때문에 localhost:9090으로 접속해줍니다.
스프링 부트가 잘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